래리 윌리엄스의 변동성 돌파 전략(Volatility Breakout Strategy)을 알아보자
변동성 돌파전략 (Volatility Breakout Strategy)
변동성 돌파전략은 주식, 외환, 선물 등 다양한 금융시장에서 활용되는 기술적 분석 기법 중 하나로, 가격의 변동성을 이용하여 특정 가격대에서의 돌파를 노리는 전략입니다. 이 전략은 주로 시장의 변동성이 큰 시점에 매수 또는 매도 포지션을 취해 단기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기본 원리
변동성 돌파전략은 일반적으로 전일의 고가와 저가를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주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매수 신호: 당일 가격이 전일 고가를 상향 돌파할 때 매수 포지션을 취합니다.
• 매도 신호: 다음날 시가에 매도
2. 변동성 측정
변동성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 지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지표는 ATR(Average True Range)로, 이는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적인 가격 변동 폭을 나타냅니다. ATR을 기준으로 목표 가격을 설정하여 돌파 지점을 계산하는 방식이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전일의 종가에 ATR의 일정 배수를 더하거나 빼서 돌파 목표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전략 구현 예시
• 전략 설정: 전일 고가가 100, 저가가 90, 종가가 95였다고 가정합시다. ATR이 5라면, 매수 목표가는 100 + (5 * 0.5) = 102.5가 됩니다.
• 매매 조건: 만약 당일 가격이 102.5를 돌파하면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다음날 시가에 매도합니다.
4. 장단점
장점
•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명확한 기준이 있어 전략 실행이 단순합니다.
단점
• 돌파 후에 가격이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 손실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잦은 매매로 인해 거래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횡보장(박스권)에서는 신호가 자주 발생해 수익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5. 리스크 관리
변동성 돌파전략은 높은 수익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리스크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리스크 관리 방법이 사용됩니다:
• 손절매 설정: 돌파 후 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손절매를 실행합니다.
• 포지션 사이징: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포지션 크기를 조절하여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 트레일링 스탑: 수익이 발생할 경우, 일정 거리만큼 따라붙는 트레일링 스탑을 설정해 수익을 보호합니다.
6. 결론
변동성 돌파전략은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을 이용해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으로, 명확한 매매 기준과 리스크 관리 방법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전략이 그렇듯이, 시장 상황에 따라 전략의 성과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충분한 백테스트와 실전 적용 후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테스트를 해보면 승률이 50%를 살짝 못미치지만 손익비가 좋아 수익이 납니다. 그 말은 손해보는 날이 많아서 수익이 조금만 나면 익절하고 싶은 욕심이 생기는데 가끔 크게 수익을 얻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수익을 길게 가져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